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전체 글137

반석동 라홍방 마라탕집 아이랑 다녀왔어요 예전에 자주 오던 대전 반석동이에요. 겨울방학이라 집에 있는 아이와 아이가 외식만 하면 외쳐대는 메뉴인 마라탕을 먹으러 왔습니다. 몇 달 전에 친구들과 처음 와서 먹어봤는데 집 근처에 자주 가던 마라탕집보다 맛이 좋아서 다음번에 우리 아이랑 와서 먹어야겠다고 생각했던 곳이에요. 먼저 가게로 입장하자마자 자리부터 잡아 앉았습니다. 점심시간에 맞춰오면 자리가 가득 차서 대기를 해야 할 수도 있겠더라고요. 마침 우리가 들어오면서 한자리가 나서 앉았습니다. 그리고 각자 취향대로 재료를 고르기 시작했어요. 가게의 테이블은 좌측으로 3개의 테이블이 있고, 우측으로는 2인용 테이블로 7개 정도가 있어서 방문자 인원수에 맞게 테이블을 붙이거나 떼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. 집 근처 마라탕 집보다 이곳의 재료가 .. 2023. 1. 25.
[포켓몬빵] 돌아온 고오스 초코케익 안에 띠부실은 코일 포켓몬 빵은 인기는 요즘도 유효한 건지 잘 모르지만 밤 12시가 다 되었을 때 무심코 방문한 gs 편의점에서 포켓몬빵 두 개가 눈에 들어왔다. 둘 다 요새 새로나온 신상빵은 아닌 듯한데 왠지 맛있어 보이는 빵으로 골라봤다. 그 이름은 '돌아온 고오스 초코케익' 이였다. 오늘 이 빵 안에는 어떤 캐릭터의 띠부실이 나올는지가 궁금해진다. 이게 포켓몬 빵을 사게 되는 재미다. 이 포켓몬 빵은 1998년에 출시되었다고 하는데 어느 시점부터 다시 그 인기가 부활한건지. 우연히 인기 있는 포켓몬빵을 발견하게 되면 기뻐하고 있는 내 모습을 보곤 흠칫 놀라게 된다. 포켓몬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면서 일단 사고 나서 이건 무슨 캐릭터인지 궁금해한다. 포장봉지를 뜯어 안에 내용물을 보면 케익이라서 손으로 만지면 끈적해지는.. 2023. 1. 24.
민정문서, 화랑도, 골품 제도 □ 민정문서(신라장적, 신라 촌락 문서) * 민정 문서 : 통일 신라 시대의 경제생활을 알 수 있는 중요한 토지 문서. (민정문서의 내용은 토지는 논, 밭, 촌주위답, 내시령답 등 토지의 종류와 면적을 기록하고, 사람들은 인구, 가호, 노비의 수와 3년 동안의 사망, 이동 등 변동 내용을 기록.) ① 1933년 일본 동대사(도다이지) 정창원(쇼소인)에서 발견되었다. ② 서원경(현재의 청주) 부근 4개 촌락을 대상으로 문서가 작성되었다. ③ 작성 목적 : 국가의 부역과 조세 기준을 마련하기 위함이었다. ④ 작성자 : 촌주가 3년마다 작성하였다. ⑤ 인정 : 연령과 성별에 따라 6등급 / 호 : 인정의 과다에 따라 9등급 ⑥ 우, 마, 유실수 등이 파악되었다. ⑦ 연수유전(답) : 농민들이 경작하는 토지이며.. 2023. 1. 23.
갑상선(갑상샘)기능저하증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 ○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란 갑상선에 생긴 이상 중 가장 힘들어하는 질환이 기능저하증입니다. 갑상선호르몬은 우리 몸의 생리적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그런데 갑상선호르몬이 정상범위보다 높은지 낮은지 그 수치에 따라서 증상이 극과 극으로 나타나게 됩니다.갑상선은 목의 앞부분 중앙에 위치하고 있고 뇌하수체의 자극 호르몬에 반응하여 갑상샘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기관 중 하나입니다.갑상선에서 갑상선 호르몬이 잘 생성되지 않아 몸속에 갑상선 호르몬이 감소되거나 말초 조직에서 갑상선에서 호르몬을 만들도록 하는 신호에 문제가 생겨서 나타나는 전신적 대사이상 질환입니다. 간단히 말하면 몸에 갑상선호르몬이 부족한 상태를 말합니다. ○ 원인 첫째, 갑상선 자체에 문제가 생겨 갑상선호르몬의 생산이 감소하.. 2023. 1. 20.
발해의 역사 ▣ 발해의 역사 □ 발해의 건국과 발전 ① 고왕(대조영, 1대 : 698~719) - 동모산(갈림성 돈화현)에서 진국(震國)을 건립하였다(698). - 연호 : 천통 - 당으로부터 발해군왕으로 봉해졌고(713), 이후 국호를 발해로 고쳤다. - 소수의 고구려인(지배 계급)과 다수의 말갈족(피지배 계급)으로 구성되었다. * 고왕 : 발해를 건국한 발해왕조의 창업 군주. 남북국시대 발해의 제1대(재위:698~719) 왕. 본명은 대조영이다.고구려 멸망 후 당나라의 영주(營州) 지방에 그 일족과 함께 옮겨 와 거주하였다. ② 무왕(대무예, 2대 : 719~737) : 돌궐 · 일본과는 우호 관계, 당과 신라는 견제 -흑수 말갈 문제로 당과 대립하였다. -장문휴의 수군으로 하여금 산둥 반도 등주를 선제공.. 2023. 1. 19.
통일 신라(신라 중대와 하대)의 특징 ▣ 통일 신라(신라 중대와 하대)의 특징 □ 신라의 시대 구분: 「삼국사기」에서는 왕의 혈통에 따라 상대(박혁거세~진덕여왕 : 성골), 중대(무열왕~혜공왕 : 진골 →무열계 직계), 하대(선덕왕~경순왕 : 내물계)로 구분한다. □ 신라 중대의 발전 ① 태종 무열왕 시기 백제를 멸망시켰고(660), 문무왕은 고구려를 멸망시켰으며(668) 나당 전쟁에서 승리하여 삼국을 통일하였다(676). ② 신문왕(681~692) - 전제 왕권 확립 : 김흠돌의 난과 연루된 진골 귀족들을 숙청하였다. - 중앙 관제를 완성하였다. - 지방 행정 제도 정비 : 9주 5 소경 - 관료전을 지급하였고, 녹읍을 폐지하였다. - 국학 설치 : 유교적 정치 이념에 입각하여 관료들의 자질을 높이기 위해 설치하였다. - 이.. 2023. 1. 17.
신라의 성장과 발전 ▣ 신라의 성장과 발전 □ 내물마립간(17대 : 356~402) ① 김씨가 독점적으로 왕위를 세습하게 되었다. ② 왕호를 이사금에서 마립간으로 바꾸었다. ③ 광개토 대왕의 도움으로 왜군을 축출하였다. (호우명 그릇 : 광개토대왕에 대한 제기). *마립간(麻立干)은 수장(首長)을 뜻하는 '간(干)'앞에 '마립'이 붙어 이루어진 칭호이다.에 인용된 김대문의 설명에 의하면, '마립'은 신라 말로 말뚝을 뜻하며, 왕과 신하가 위치하는 자리인 '함조'를 일컫는다. □ 눌지 마립간(19대 : 417~458) ① 백제의 비유왕과 나제 동맹을 체결하였다( 433). ② 고구려 승려 묵호자가 불교를 전래하였다. ③ 부자 상속제가 확립되었다. *나제동맹 : 삼국시대 서기 433년부터 서기 554년까지 121년 동.. 2023. 1. 17.
백제의 성장과 발전 ▣ 백제의 성장과 발전 □ 고이왕(8대 : 234~286) : 고대 국가의 기틀 마련① 왕위를 형제 상속하였다. ② 영토 확장 : 한강유역을 완전히 장악하였다. ③ 관제 정비 : 6 좌평 및 16관 품을 설치하였고, 관리의 공복 및 복색을 제정하였다. ④ 율령 반포 : 도둑질한 자는 귀양을 보내는 동시에 2배를 배상하게 하였고, 관리가 뇌물을 받거나 횡령했을 때에는 3배를 배상하고 종신토록 금고형에 처했다. □ 근초고왕( 13대 : 346~375) : 고대 국가 완성 ① 왕권 강화 : 부자 상속에 의한 왕위 계승을 확정하였다. ② 고흥이 를 편찬하였다(375). ③ 영토 확장 -가야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였다. -남쪽으로는 마한의 나머지 지역을 정복하여 영토가 남해안에 이르게 되었다. -북.. 2023. 1. 14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