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한국사이야기11

고분과 벽화/ 고대 국가의 주요 유물 정리 □고분과 벽화(고구려, 백제, 신라, 통일신라, 발해) 국가 고분과 벽화 고구려 -고분 : 초기에는 돌무지무덤(장군총)이었고, 점차 굴식 돌방무덤으로 발전함(독특한 모중임천장 구조) -벽화 : 강서대묘(사신도), 무용총(수렵도), 각저총(씨름도) 백제 -한성 시대 : 서울 석촌동 고분(고구려 초기 고분과 유사함) -웅진 시대 : 벽돌무덤(남조의 영향을 받은 무령왕릉이 대표적임) -사비 시대 : 굴식 돌방무덤 신라 (통일 이전) 돌무지덧널무덤-무덤 규모가 크고 벽화가 없음. 도굴이 어려워 부장품이 다수 발견됨 통일신라 -굴식 돌방무덤 - 둘레돌에 12지시상 새김(김유신 묘) 발해 -정혜공주 묘 : 굴식 돌방무덤, 모중임천장 구조 - 고구려 문화의 영향 -정효공주 묘 : 벽돌무덤 -당의 문화적 영향 □ 고대.. 2023. 4. 21.
고대 국가의 불교 □ 삼국의 불교 공인 ① 고구려 : 소수림왕 시기 전진(前秦)의 순도(順道)에 의해 전래되었다(372). ② 백제 : 침류왕 때 동진의 마라난타에 의해 전래되었다(384). ③ 신라 : 법흥왕 때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공인되었다(527). * 전진(前秦) : 중국의 한 국가 이름. * 순도 : 삼국시대 고구려에 불교를 전한 승려. 고구려에 불교를 최초로 전한 승려. * 이차돈 : 신라의 승려로 한국 불교사상 최초의 순교자. * 순교 : 자기가 믿는 종교, 즉 신앙 때문에 박해를 박아 목숨까지 잃게 되는 일. □ 통일신라 시기 주요 모습 ① 원효 - 법성종을 개창하였다. - 일심 사상을 바탕으로 화쟁 사상을 주장하여 불교의 통합을 위해 노력하였다. - 불교의 대중화 : 무애가를 부르며 정토종(나무아미타불.. 2023. 1. 31.
민정문서, 화랑도, 골품 제도 □ 민정문서(신라장적, 신라 촌락 문서) * 민정 문서 : 통일 신라 시대의 경제생활을 알 수 있는 중요한 토지 문서. (민정문서의 내용은 토지는 논, 밭, 촌주위답, 내시령답 등 토지의 종류와 면적을 기록하고, 사람들은 인구, 가호, 노비의 수와 3년 동안의 사망, 이동 등 변동 내용을 기록.) ① 1933년 일본 동대사(도다이지) 정창원(쇼소인)에서 발견되었다. ② 서원경(현재의 청주) 부근 4개 촌락을 대상으로 문서가 작성되었다. ③ 작성 목적 : 국가의 부역과 조세 기준을 마련하기 위함이었다. ④ 작성자 : 촌주가 3년마다 작성하였다. ⑤ 인정 : 연령과 성별에 따라 6등급 / 호 : 인정의 과다에 따라 9등급 ⑥ 우, 마, 유실수 등이 파악되었다. ⑦ 연수유전(답) : 농민들이 경작하는 토지이며.. 2023. 1. 23.
발해의 역사 ▣ 발해의 역사 □ 발해의 건국과 발전 ① 고왕(대조영, 1대 : 698~719) - 동모산(갈림성 돈화현)에서 진국(震國)을 건립하였다(698). - 연호 : 천통 - 당으로부터 발해군왕으로 봉해졌고(713), 이후 국호를 발해로 고쳤다. - 소수의 고구려인(지배 계급)과 다수의 말갈족(피지배 계급)으로 구성되었다. * 고왕 : 발해를 건국한 발해왕조의 창업 군주. 남북국시대 발해의 제1대(재위:698~719) 왕. 본명은 대조영이다. 고구려 멸망 후 당나라의 영주(營州) 지방에 그 일족과 함께 옮겨 와 거주하였다. ② 무왕(대무예, 2대 : 719~737) : 돌궐 · 일본과는 우호 관계, 당과 신라는 견제 -흑수 말갈 문제로 당과 대립하였다. -장문휴의 수군으로 하여금 산둥 반도 등주를 선제공격하였.. 2023. 1. 19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