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식이나 코인은 언제 사느냐, 언제 파느냐가 수익을 좌우합니다.
가격이 오르기 전에 사서, 고점에 파는 게 이상적이지만 현실에서는 타이밍 판단이 어렵기 때문에 기초 원칙과 흐름 차악이 중요합니다.
□ 초보자가 꼭 알아야 할 타이밍 원칙
1. 매수 타이밍
전략 | 설명 | 예시 |
눌림목 매수 | 급등 후 가격이 살짝 빠졌을 때 진입 | 100 -> 120 급등 후 110에서 매수 |
하락 추세에서 멈춤 확인 후 | 계속 떨어지던 종목이 바닥 다지는 신호일 때 | MACD, RSI 지표로 '매수 과열 해소' 확인 |
좋은 뉴스 이후 조정 시 | 호재 발표 후 잠시 빠지는 타이밍 | 예: 반도체 관련 호재 후 조정 구간 진입 |
2. 매도 타이밍
전략 | 설명 | 예시 |
목표 수익률 도달 시 | 자신만의 목표 수익률 설정 후 도달 시 분할 매도 | +10~15% 도달 시 일부 매도 |
차트 과열 신호 | RSI 70 이상, 캔들 고점 반복 시 주의 | 반복되는 장대양봉 후 긴 윗꼬리 출현 |
악재 뉴스 등장 시 | 기업/시장 악재가 나왔을 때 빠른 대처 | CEO 리스크, 제재 이슈 등 확인 시 매도 고려 |
□ 초보자용 매수∙매도 실전 공식
1. 추세 확인 : 상승 중인가 하락 중인가?
2. 지지/저항선 체크: 가격이 어디서 멈추고 반등하는가?
3. 거래량 분석: 상승 시 거래량도 같이 늘고 있는가?
4. 뉴스/이슈 체크: 재료가 소멸되었는가, 시작되었는가?
5. 보조지표 활용: RSI, MACD, 이동평균선 등 확인
□ 코인과 주식의 차이점도 알아두자!
항목 | 주식 | 코인 |
거래 시간 | 평일 오전 9시~ 3시 30분 | 24시간 연중무휴 |
규제/감독 | 정부 기관의 규제 있음 | 규제 적고 변동성 큼 |
분석 방식 | 재무제표, 산업 흐름 등 분석 | 심리∙이슈 중심 분석 많음 |
□ 지지선에서 반등 타이밍이란?
지지선은 가격이 자주 멈추고 다시 올라가는 "바닥" 같은 구간입니다. 반대로 저항선, 즉 올라가다가 자주 부딪히는 "천장"이 있죠.
⊙ 지지선에서 반등할 때의 신호
신호 | 설명 |
지지선 근처에서 당재 양봉 발생 | 매수세가 지지 구간에서 강하게 들어왔다는 뜻 |
거래량 증가와 함께 반등 | 매수세가 실제로 몰리고 있는 증거 |
보조지표 RSI 30 부근에서 반등 | 과매도 구간에서 반등, 상승 가능성 ↑ |
캔들 패턴 출현 (망치현, 반전형) | 기술적 반등 신호로 자주 사용 |
□ 추세 전환 신호는 이렇게 알 수 있어요
추세 전환은 하락이 멈추고 상승으로 바뀌거나, 상승이 꺽이고 하락으로 바뀌는 시점을 말합니다.
⊙ 상승 전환 (하락 -> 상승) 시 대표 신호
지표/패턴 | 설명 |
골든 크로스 (이동평균선) | 단기 이평선이 장기 이평선을 위로 돌파할 때 |
이중 바닥 (w패턴)형성 | 두 번의 바닥 후 반등 시도 |
MACD 시그널선 돌파 | MACD가 시그널을 상향 돌파할 때 상승 전환 가능성↑ |
RSI 과매도 (30 이하) -> 반등 | 심리적 과매도 해소 후 회복 신호 |
실전 예시 (비트코인 차트 기준)
☞가격이 28000달러에서 반복적으로 반등
-> 해단 구간이 지지선으로 인식됨
☞어느 날 28,000달러 도달 후 거래량 증가 + 장대 양봉 출현
-> 단기 매수세 유입으로 반등 가능성 ↑
☞동시에 RSI 28 -> 35로 상승, MACD 상향 돌파
-> 추세 전환의 신호 강화
■ 체크리스트 : 이럴 땐 반등 가능성
1. 지지선 근처인가?
2. 장대 양봉이 떴는가?
3. 거래량이 증가했는가?
4. RSI가 과내도 구간에서 돌아섰는가?
5. MACD가 시그널선을 돌파했는가?
□ MACD와 RSI 예시 차트
1. MACD (이동평균 수렴∙확산 지표)
MACD란?
-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
- 말 그대로,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의 거리 차이를 분석해 주는 추세 전환을 포착하는 지표예요.
구성요소
구성 | 설명 |
MACD 선 | 단기(보통 12일) EMA - 장기 (보통 26일) EMA |
시그널 선 | MACD 선의 9일 이동평균선 |
히스토그램 | MACD 선과 시그널 선의 차이 (그래프 형태로 표시) |
해석 방법
패턴 | 의미 |
MACD 선이 시그널 선을 위로 돌파 | 매수 신호 (상승 추세 시작 가능성) |
MACD 선이 시그널 선을 아래로 돌파 | 매도 신호 (하락 추세 시작 가능성) |
히스토그램 증가 | 추세 강화 중 |
히스토그램 감소 | 추세 약화 중, 반전 가능성 |
2. RSI (상대강도지수)
RSI란?
- Relative Strength Index
- 일정 기간(보통 14일) 동안의 상승/하락 강도를 계산해서 " 이 종목이 너무 올랐는지, 떨어졌는지"를 수치로 보여줘요.
- 0~100 사이 숫자로 표현됨
□ MACD vs RSI 비교 요약
항목 | MACD | RSI |
목적 | 추세 전환 포착 | 과열∙과매도 판단 |
활용 시점 | 중기적 흐름 | 단기적 진입 ∙이탈 타이밍 |
수치 범위 | 선으로 구성 | 0~100 지수 |
□ MACD와 RSI 예시 차트
1. MACD (이동평균 수렴∙확산 지표)
- 위 차트는 MACD 지표의 구성 요소를 보여줍니다.
- MACD 선(파란색): 단기 ema와 장기 EMA의 장기 EMA의 차이
- 히스토그램: MACD 선과 시그널 선의 차이를 막대 그래프로 표현
- MACD 선이 시그널 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신호로, 하향 돌파하면 매도 신호로 해석됩니다.
2. RSI (상대강도지수)
- 이 차트는 RSI지표의 변화를 보여줍니다.
- 70 이상 : 과매수 상태로, 가격 조정 가능성 있음
- 30 이하: 과매도 상태로, 반등 가능성 있음
RSI가 30 이하로 떨어졌다가 다시 상승하면 매수 신호로, 70 이상에서 하락하면 매도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.
예시 시나리오:
1. RSI가 30이하로 하락하여 과매도 상태 진입
2. MACD 선이 시그널 선을 상향 돌파하여 상승 추세 전환 신호 발생
3. 동시에 거래량 증가 확인
이러한 조건이 충족되면 매수 진입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.
달러 투자하는 법(초보자 투자 시 주의할 점)
요즘처럼 환율이 요동치고, 고금리 시대에 접어든 지금 특히 관심이 많아진 분야이지요.복잡할 것 같지만, 핵심은 "환차익"과 "달러 자산 보유" 두 가지예요. □ 달러 투자란? " 환율과 금리
dreamoffice.tistory.com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