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한국사이야기11

여러나라(부여, 고구려,옥저,동예, 삼한)의 성립과 발전 □ 부여 ① 성립과 발전 -위치 : 쑹화강 유역의 평야 지대를 중심으로 성장하였다. -1세기 초에 이미 왕호를 사용했으며, 중국과 외교관계를 맺는 등 발전된 국가 체제를 갖추었다. ② 정치 : 5 부족 연맹체 - 왕 아래 가축의 이름을 딴 마가(馬加), 우가(牛加), 저가(猪加), 구가(狗加)라는 대가들이 있었다. - 대가들은 대사자, 사자, 대사 등의 관리를 두었고, 사출도를 독자적으로 지배하였다. ③ 사회와 경제 - 왕의 사망 시 부장품과 사람도 부장하는 순장 풍습이 있었다. - 가(加)의 권한 또한 강하여 왕에게 수해나 흉년의 책임을 묻기도 하였다. - 지배층은 왕, 제가, 호민이 있었고, 피지배층은 평민인 하호가 생산을 담당하였으며, 그 아래 노비가 있었다. - 묵축을 주로 하였고, 말, .. 2023. 1. 12.
고조선의 건국과 발전 고조선의 특징 ① 비파형 동검, 거친 무늬 거울, 미송리식 토기, 북방식 고인돌은 고조선의 특징적인 유물로 간주된다. ② 기원 전 3세기부터는 부왕, 준왕 같은 강력한 왕들이 등장하고, 상, 대부, 장군 등의 관직도 확인된다 ③ 단군신화 : 《삼국유사》(일연), 《제왕운기》(이승휴) 등에 수록되어 있다. ④ 고조선의 8 조법 -생명중시, 노동력 중시 -사유재산 제도의 형성 -형벌 노비 : 계급사회 -남성중심사회 : 법적 내용은 아님 위만 왕조 ① 철기의 본격 수용 -> 농업과 수공업 발달 ② 우거왕 시기 중계 무역의 이익 독점 -> 한의 침입으로 멸망(기원전 108년) -> 한 4군 설치 낙랑군 ① 한 4군 중 낙랑은 313년 고구려 미천왕이 축출할 때까지 대동강 유역에 존재하였다. ② 이 시기.. 2023. 1. 12.
선사시대와 국가의 형성 □ 구석기시대 ① 약 70만 년 전부터 시작되었다.② 석기를 다듬는 수법에 따라 전기, 중기, 후기 세 시기로 구분한다.③ 뗀석기 사용④ 구석기시대의 주요 유적지 연천군 전곡리 유적(경기)유럽 아슐리안형 주먹도끼 발견청주(청원) 두루봉 동굴(충북)어린아이들의 완전한 뼈 화석 발견(흥수아이)공주 석장리 유적(충남)남한에서 최초로 발견되어 1964년부터 발굴됨⑤ 경제, 주거생활 -이동 생활을 통한 수렵, 채집이 중심이었다. -동굴이나 막집에서 생활하였다. □ 신석기시대 ①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는 기원전 8,000년경부터 시작되었다.② 대표적 유물 -간석기(마제석기) - 토기 : 이 시기 대표적 토기는 빗살무늬 토기이며, 그 외에도 이른 민무늬토기, 덧무늬토기, 눌러 찍기 무늬, 토.. 2023. 1. 11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