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한국사이야기

민정문서, 화랑도, 골품 제도

by 꿈꾸는아즈미 2023. 1. 23.
반응형

 

□ 민정문서(신라장적, 신라 촌락 문서)

 

* 민정 문서 : 통일 신라 시대의 경제생활을 알 수 있는 중요한 토지 문서. 

(민정문서의 내용은 토지는 논, 밭, 촌주위답, 내시령답 등 토지의 종류와 면적을 기록하고, 사람들은 인구, 가호, 노비의 수와 3년 동안의 사망, 이동 등 변동 내용을 기록.)

 

① 1933년 일본 동대사(도다이지) 정창원(쇼소인)에서 발견되었다.

 

② 서원경(현재의 청주) 부근 4개 촌락을 대상으로 문서가 작성되었다.

 

③ 작성 목적 : 국가의 부역과 조세 기준을 마련하기 위함이었다.

 

④ 작성자 : 촌주가 3년마다 작성하였다.

 

⑤ 인정 : 연령과 성별에 따라 6등급 / 호 : 인정의 과다에 따라 9등급

 

⑥ 우, 마, 유실수 등이 파악되었다.

 

⑦ 연수유전(답) : 농민들이 경작하는 토지이며, 성덕왕 때 지급된 정전으로 추정된다.

 

⑧ 촌주위답 : 촌주에게 지급된 토지이다.

 

 

□ 화랑도(국선도, 풍류도, 풍월도)

 

① 옛 씨족 사회의 청소년 집단(원화)에서 기원하였다.

 

② 국가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진흥왕 때 국가적 차원에서 조직되었다.

 

③ 화랑(진골 귀족 자제), 낭도(평민 자제까지 참여)→ 계층 간 대립과 갈등을 조절, 완화하는 역할을 하였다.

 

 세속 5계(원광) : 사군이충(事窘以忠), 사친이효(事親以孝), 교우이신(交友以信), 임전무퇴(臨戰無退), 살생유택(殺生有擇)

 

* 세속오계 - 신라의 화랑이 지켜야 할 계율.

사군이충 : 임금을 충성으로 섬김

사친이효 : 부모를 효로 섬김

교유이신 : 친구는 믿음으로 사귐

임전무퇴 : 전무에 임해서는 물러나지 않음

살생유택 : 생명을 죽일 때는 가림이 있어야 함

 

 

⑤ 화랑정신은 유교, 불교, 도교 및 신라 고유 신앙이 융합된 것이다.

 

* 화랑정신 : 화랑의 이념인 다섯 가지 정신.

곧 나라에 충성하고, 부모에게 효도하고, 벗을 믿음으로 사귀고, 죽이는 일을 삼가고, 싸움에 물러서지 않는 정신을 말한다.

 

 

⑥ 임신서기석 : 화랑들이 유학을 열심히 공부하여 국가에 충성을 다할 것을 맹세한 내용이 새겨져 있는 비석이다.

 

* 임신서기석 : 신라의 두 청년이 임신년에 하늘에 충도를 지킬 것을 맹세하고, 그 전년인 심미년에는 유교 경전을 학습할 것을 맹세하는 내용을 새긴 비석.

 

 

□ 골품 제도

 

* 골품제도 : 신라시대의 신분제도 

 

 법흥왕 때 중앙 집권 국가가 정비되어 가는 과정에서 골품 제도를 마련하여 통치 기반을 구축하였다.

 

* 중앙 집권 국가 : 왕과 여러 군장(족장)들이 나라를 나누어 다스리는 연맹 국가에서 점차 발전하여 왕을 중심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국가.

 

 

② 처음에는 성골, 진골, 6두품~1두품 등 8등급이었으나 3두품 이하는 곧 소멸되었고, 무열왕 이후에는 4등급(진골, 6두품, 5두품, 4두품)만 남았다.

 

③ 골품 제도는 지배층 내부의 신분 제도였으며, 혈연에 따라 사회적 활동을 제약하는 것이었다.

 

④ 신라 관등 조직은 골품 제도와 관련되어 편성되었다.

 

* 관등 : 관리나 벼슬의 등급.

 

 

⑤ 관등 승진의 상한선이 골품에 따라 정해져 있어 불만을 가진 이들도 있었다. 대표적인 이들이 6두품(득난)이었다.

 

* 골품 : 신라의 형통의 높고 낮음에  따라 신분을 구분한 제도. 성골(聖骨) · 진골 · 육두품(六頭品) · 오두품 · 사두품 등이 있었는데, 진골은 성골과 함께 왕족에 속하나, 성골과는 달리 양친의 혈통이 그 어느 한쪽 또는 그 어느 일대라도 왕족이 아닌 혈통이 섞인 골품으로 성골이 끊어진 29대 무열왕 때부터 이후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.

 

 

⑥ 진골은 1관등 -이벌찬, 6두품- 6 관등 아찬, 5두품-10 관등 대사, 4두품-12 관등 대사가 관등의 상한선이었다.

 

* 진골 : 신라시대 골품제도의 한 등급.

 

 

⑦ 6두품 인물들은 대체로 학문과 종교 분야에서 활동하였고, 신라 중대에는 왕권과 결탁하였으며, 신라 하대에는 반신라적 태도를 보이기도 하였다.

 

*6두품 : 골품제는 성골(聖骨) · 진골(眞骨)의 골족과 6~1두품의 두품층으로 구성되었는데, 6두품은 두품층 가운데 가장 높은 등급이었다.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

'한국사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고분과 벽화/ 고대 국가의 주요 유물 정리  (0) 2023.04.21
고대 국가의 불교  (0) 2023.01.31
발해의 역사  (0) 2023.01.19
통일 신라(신라 중대와 하대)의 특징  (0) 2023.01.17
신라의 성장과 발전  (0) 2023.01.17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