□ 구석기시대
① 약 70만 년 전부터 시작되었다.
② 석기를 다듬는 수법에 따라 전기, 중기, 후기 세 시기로 구분한다.
③ 뗀석기 사용
④ 구석기시대의 주요 유적지
연천군 전곡리 유적(경기) | 유럽 아슐리안형 주먹도끼 발견 |
청주(청원) 두루봉 동굴(충북) | 어린아이들의 완전한 뼈 화석 발견(흥수아이) |
공주 석장리 유적(충남) | 남한에서 최초로 발견되어 1964년부터 발굴됨 |
⑤ 경제, 주거생활
-이동 생활을 통한 수렵, 채집이 중심이었다.
-동굴이나 막집에서 생활하였다.
□ 신석기시대
①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는 기원전 8,000년경부터 시작되었다.
② 대표적 유물
-간석기(마제석기)
- 토기 : 이 시기 대표적 토기는 빗살무늬 토기이며, 그 외에도 이른 민무늬토기, 덧무늬토기, 눌러 찍기 무늬, 토기 등이 제작되었다.
③ 대표적 유적지: 대부분 강가나 바닷가에서 발견된다.
④ 농경과 정착 생활이 시작되었다.(신석기 혁명)
⑤ 원시적 수공업 : 가락바퀴, 뼈바늘
⑥ 해안이나 강가의 움집에 거주
-움짐 터는 원형이거나 모서리가 둥근 네모꼴이다.
- 반지하 형태로 중앙에 취사나 난방을 위한 화덕을 설치하였다.
⑦ 씨족은 혈연을 기반으로 하나의 공동체(부족)를 이루고, 자급자족의 폐쇄적 경제 독립체를 형성하고 있었다.
⑧ 족외혼 제도
⑨ 원시 신앙 발생 : 애니미즘, 샤머니즘, 토테미즘
□ 청동기 시대
① 시기 : 기원전 2,000년경에서 기원전 1,500년경 사이에 시작되었다.
② 대표적 유적지 : 여주 흔암리 등
③ 대표적 유물
-비파형 동검
-거친 무늬 거울
-석기 농기구 : 반달돌칼, 바퀴날 도끼, 홈자귀
④ 대표적 토기
-민무늬 토기
-미송리식 토기 : 북방식 고인돌, 거친무늬 거울, 비파형 동검과 함께 고조선의(건국 초기) 특징적인 유물로 간주된다.
-붉은 간 토기
⑤ 무덤 양식
-고인돌
-돌널무덤
⑥ 일부 지역에서는 벼농사가 시작되었다.
⑦ 산간, 구릉지에 집단적 취락 생활을 하였다.
⑧ 움집
-점차 지상 가옥 화하며, 직사각형의 집터에 화덕은 한쪽 벽으로 이동하였다.
-저장 구덩이도 따로 설치하거나 한쪽 벽면을 밖으로 돌출시켜 만들었다.
-창고와 같은 독립된 저장 시설을 집 밖에 따로 만들기도 하였고, 움집을 세우는데 주춧돌을 사용하기도 하였다.
⑨ 선민사상, 성역할의 분리(남성 중심 사회로 변화)
⑩ 최초의 국가 형태 : 군장 국가의 출현
□ 초기 철기시대
① 기원전 5세기 경 철기 문화가 전래되기 시작하였다.
② 한반도의 독자적 청동기 문화
-세형동검(한국식 동검)
-잔무늬 거울
-거푸집(용범): 청동기를 제작하던 틀
③ 중국과의 교류 : 명도전, 오수전, 반량전 발견
④ 경남 창원 다호리 유적의 붓 : 한자의 사용
⑤ 토기 : 검은 간 토기, 덧띠 토기 등이 발견되었다.
⑥ 무덤 형태 : 널무덤, 독무덤
⑦ 난반 기술의 발난로 움집에 온돌 장치가 사용되었으며 완전한 지상가옥 형태를 갖추었다.
'한국사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라의 성장과 발전 (0) | 2023.01.17 |
---|---|
백제의 성장과 발전 (0) | 2023.01.14 |
고대의 역사 _ 고구려의 성장과 발전 (0) | 2023.01.13 |
여러나라(부여, 고구려,옥저,동예, 삼한)의 성립과 발전 (0) | 2023.01.12 |
고조선의 건국과 발전 (0) | 2023.01.12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