□ 부여
① 성립과 발전
-위치 : 쑹화강 유역의 평야 지대를 중심으로 성장하였다.
-1세기 초에 이미 왕호를 사용했으며, 중국과 외교관계를 맺는 등 발전된 국가 체제를 갖추었다.
② 정치 : 5 부족 연맹체
- 왕 아래 가축의 이름을 딴 마가(馬加), 우가(牛加), 저가(猪加), 구가(狗加)라는 대가들이 있었다.
- 대가들은 대사자, 사자, 대사 등의 관리를 두었고, 사출도를 독자적으로 지배하였다.
③ 사회와 경제
- 왕의 사망 시 부장품과 사람도 부장하는 순장 풍습이 있었다.
- 가(加)의 권한 또한 강하여 왕에게 수해나 흉년의 책임을 묻기도 하였다.
- 지배층은 왕, 제가, 호민이 있었고, 피지배층은 평민인 하호가 생산을 담당하였으며, 그 아래 노비가 있었다.
- 묵축을 주로 하였고, 말, 주옥, 모피를 수출하였다.
④ 제천 행사와 풍속
-제천 행사 : 영고(12월)
-형사취수(형이 죽으면 동생이 형수를 취할 수 있던 제도)
-순장 (한 귀인이 죽어 묻는데 백명의 생사람을 순장하였다는 기록이 있다)
-우제점법(소의 발굽으로 길흉을 점침)
⑤ 법률 출전 : ([삼국지] 위서 동이전)
-살인자는 사형에 처하고, 그 가족은 노비로 삼는다.
-도둑질한 자는 그 물건 값의 12배로 배상한다(1 책 12 법). -사유재산 보호
- 간음한 자는 사형에 처하고 그 시체를 남쪽 산 위에 버려서 썩게 한다. 단, 여자 집에서 시체를 찾아가려면 소와 말을 바쳐야 한다.
⑥ 부여의 멸망과 역사적 의의
-3세기 말 선비족의 침략으로 세력이 위축되었고, 5세기말 고구려에 흡수되었다(고구려 문자왕, 494).
-연맹 왕국 단계에서 고구려에 흡수당했으나 고구려, 백제가 부여의 계통이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크다.
□ 고구려
① 성립
-부여에서 남하해 온 주몽이 건국하였다(기원전 37).
-압록강의 지류인 졸본(오녀산성) 지방에서 건국하였다.
-건국 초기부터 주변 국가들을 정복하면서 발전하였다. 이후 국내성으로 수도를 옮기고, 5 부족 연맹을 토대로 발전하였다.
② 정치와 사회
- 왕 아래 상가, 고추가 등 대가들이 있었으며, 이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사자, 조의, 선인을 거느렸다.
- 왕과 대가는 지배 계급으로 하호와 노비를 다스렸으며, 중대한 범죄자가 있으면 제가회의를 통해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을 노비로 삼았다.
③제천행사
-건국 시조인 주몽과 그 어머니인 유화 부인을 조상신으로 섬겼으며, 10월에는 동맹이라는 제천 행사를 치렀다.
-왕과 신하들이 국동대혈에 모여 함께 제사를 지냈다.
④ 풍습과 법률
-서옥제 : 혼인을 한 후 남자가 일정 기간 처가에서 살다가 가족을 데리고 남자 집으로 돌아가는 제도이다.
-반역자, 살인자,전쟁에서 패한 자는 사형에 처하고 도둑질한 자는 12배로 배상아게 하였다(1 책 12 법).
□ 옥저
① 혼인 풍습으로 민며느리제가 있었다.
② 장례 풍습
-가족이 죽으면 시체를 가매장했다가 나중에 그 뼈를 추려서 가족 공동 무덤인 커다란 목곽에 안치하였다.
-목곽 입구에는 죽은 자의 양식으로 쌀을 담은 항아리를 매달아 놓기도 하였다.
□ 동예
① 명주와 삼베를 짜는 방직 기술이 발달했으며, 특산물로 단궁이라는 활과 과하마(일종의 조랑말), 반어피(바다표범의 가죽)가 있었다.
② 제천행사 : 무천(10월)
③ 풍습과 주거 생활
- 족외혼을 엄격하게 지켰으며, 다른 부족의 영역을 함부로 침범했을 때는 책화라고 하여 노비나 소, 말 등으로 배상하였다.
- 철(凸) 자 모양과 여(呂) 자 모양의 집터에서 생활하였다.
□ 삼한(마한, 변한, 진한)
① 삼한 중 마한의 세력이 가장 컸으며, 마한의 목지국의 지배자가 마한 왕 또는 진왕으로 추대되어 삼한 전체를 주도하였다.
② 정치
-정치적 지배자 : 신지, 견지 / 부례, 읍차
-제정 분리 : 제사장인 천군은 신성 지역인 소도에서 농경과 종교에 대한 의례를 주관하였다.
③ 경제
-철제 농기구를 사용하였고, 벼농사도 발달하였다.
-변한에서는 철이 많이 생산되어 화폐처럼 사용했고 낙랑, 일본 등에 수출하였다.
④ 제천행사 : 해마다 씨를 뿌리고 난 뒤인 5월에는 수릿날, 가을걷이를 마치는 10월에는 계절제를 열어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.
⑤ 삼한 사회의 변화 : 마한은 한강 유역에서 성장한 백제에게 통합되었고, 변한 지역에서는 가야, 진한 지역에서는 사로국(이후 신라)이 성장하였다.
'한국사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라의 성장과 발전 (0) | 2023.01.17 |
---|---|
백제의 성장과 발전 (0) | 2023.01.14 |
고대의 역사 _ 고구려의 성장과 발전 (0) | 2023.01.13 |
고조선의 건국과 발전 (0) | 2023.01.12 |
선사시대와 국가의 형성 (0) | 2023.01.1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