▣ 백제의 성장과 발전
□ 고이왕(8대 : 234~286) : 고대 국가의 기틀 마련
① 왕위를 형제 상속하였다.
② 영토 확장 : 한강유역을 완전히 장악하였다.
③ 관제 정비 : 6 좌평 및 16관 품을 설치하였고, 관리의 공복 및 복색을 제정하였다.
④ 율령 반포 : 도둑질한 자는 귀양을 보내는 동시에 2배를 배상하게 하였고, 관리가 뇌물을 받거나 횡령했을 때에는 3배를 배상하고 종신토록 금고형에 처했다.
□ 근초고왕( 13대 : 346~375) : 고대 국가 완성
① 왕권 강화 : 부자 상속에 의한 왕위 계승을 확정하였다.
② 고흥이 <서기>를 편찬하였다(375).
③ 영토 확장
-가야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였다.
-남쪽으로는 마한의 나머지 지역을 정복하여 영토가 남해안에 이르게 되었다.
-북으로는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구려 고국원왕을 전사시켰다.
④ 대외 관계
-남조의 동진과 교류하였다.
-산둥, 요서, 일본 규슈 등에 진출하였다.
-왜에 칠지도를 하사하였다.
□ 침류왕( 15대 : 384~385) :
동진의 마라난타에 의해 불교가 전래되었다(384).
□ 비유왕( 20대 : 427~455) :
나제 동맹을 체결하여(신라 눌지 마립간, 433) 장수왕의 남하 정책에 대항하였다.
□ 개로왕( 21대 : 455~475) :
고구려 장수왕의 압박을 받자 북조의 북위에 국서를 보내 도움을 요청하였으나 실패했다. 이후 한성이 함락당해 전사하였다.
□ 문주왕(22대 : 475~477) :
한성(위례성)이 함락된 이후 웅진(공주)으로 천도하였다.
□ 동성왕(24대 : 479~501) :
신라와 결혼 동맹을 체결하였다(신라 소지 마립간, 493).
□ 무령왕(25대 : 501~523)
-지방에 22개의 담로를 설치하여 지방 세력을 통제하였다.
-중국 남조의 양과 국교를 강화하였다.
□ 성왕(26대 : 523~554)
① 국가 중흥의 기반을 마련하였다.
② 사비(부여)로 천도하고 국호를 남부여로 바꾸었다(538).
③ 안으로는 경제 발전을 도모하고, 겸익을 등용하여 불교를 진흥하였다.
④ 중국 남조(양) 및 왜와 교류하였다.
⑤ 왜에는 노리사치계를 통해 불교를 전해주었다.
⑥ 중앙 관제 정비 : 22개의 중앙 관서를 정비하였다.
⑦ 행정 제도 개편 : 수도의 5부, 지방의 5방 체제가 갖추어졌다.
⑧ 신라와 연합하여 한강 하류 지역을 탈환하였으나(551) 신라의 배신(진흥왕)으로 재상실하였다. 이후 신라를 공격하다가 성왕이 전사하였다(554, 관산성 전투).
'한국사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통일 신라(신라 중대와 하대)의 특징 (0) | 2023.01.17 |
---|---|
신라의 성장과 발전 (0) | 2023.01.17 |
고대의 역사 _ 고구려의 성장과 발전 (0) | 2023.01.13 |
여러나라(부여, 고구려,옥저,동예, 삼한)의 성립과 발전 (0) | 2023.01.12 |
고조선의 건국과 발전 (0) | 2023.01.12 |
댓글